반응형

3. HTTP 기본

3.1. 모든 것이 HTTP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 HTML, TEXT
  • IMAGE, 음성, 영상, 파일 등
  • JSON, XML
  •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 HTTP/1.1이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버전이며, 그 이후 버전은 성능 개선 위주


[ 기반 프로토콜 ]

  • TCP : HTTP/1.1, HTTP/2
  • UDP: HTTP/3
  • 현재 HTTP/1.1 주로 사용 (HTTP/2, HTTP/3 도 점점 증가)

[ HTTP 특징 ]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무상태 프로토콜(스테이트리스), 비연결성
  • HTTP 메시지
  • 단순함, 확장 가능

3.2.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Request Response 구조'
  • Request Response 구조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개념적으로 분리)
  • 클라이언트는 UI와 사용성, 서버는 복잡한 비지니스 로직 및 데이터를 전담 (역할 분리 > 독립적 진화 가능)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서 응답

 

3.3. Stateful, Stateless

'HTTP는 무상태 프로토콜을 지향한다 (Stateless)'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
  • 장점: 서버 확장성 높음 (스케일 아웃 > 수평 확장 유리)
  • 단점: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전송 (필요한 데이터를 모두 넘겨야 하기 때문)
  • 실무 한계
    • 모든 것을 무상태로 설계 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
      • 상태 유지: 로그인이 필요한 화면
        • 로그인한 사용자의 경우 로그인 했다는 상태를 서버에 유지
        • 일반적으로 브라우저 쿠키와 서버 세션 등을 사용해서 상태 유지 (무상태에서 로그인 상태 유지하는 방법)
        • 상태 유지는 최소한만 사용
      • 무상태: 로그인이 필요 없는 단순한 서비스 소개 화면
  • 결론: 애플리케이션 설계시에는 최대한 무상태로 설계하고, 상태 유지는 최소한만 사용한다.


[ Stateful, Stateless ]

  • 상태 유지: 중간에 다른 서버로 바뀌면 안된다.
                    (다른 서버로 바뀔 때 상태 정보를 다른 서버에게 미리 알려줘야 한다.)
    • 중간에 서버가 장애나면? 클라이언트는 처음부터 다시 요청을 해야한다.

  • 무상태: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으므로, 중간에 다른 서버로 응답할 수 있다.
    • 갑자기 클라이언트 요청이 증가해도 서버를 대거 투입할 수 있다.
    • 무상태는 응답 서버를 쉽게 바꿀 수 있다.
    • 중간에 서버1이 장애나면? 서버2가 응답하면 된다.

3.4. 비 연결성 (connectionless)

'비 연결성이란?'
  •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모델이다.
  • HTTP는 일반적으로 초 단위의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 (요청할 때마다 연결하여 사용 가능, 요청이 끝난 후에는 연결 종료)
  • 1시간 동안 수천명이 서비를 사용해도 실제 서버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요청은 수십개 이하로 매우 작다.
    • 예) 웹 브라우저에서 계속 연속해서 검색 버튼을 누르지는 않는다.
  • 서버의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소한의 자원 사용하여 서버 유지 가능)
  • 한계와 극복
    • TCP/IP 연결을 새로 맺어야 함 (3 way handshake 시간 추가)
    •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를 요청하면 HTML 뿐만 아니라 JS,CSS, 추가 이미지 등 수 많은 자원이 함께 다운로드
    • 지금은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로 문제 해결
      (연결만 상태 유지하여, 매 요청시 연결을 새로 하지 않도록)
    • HTTP/2, HTTP/3에서 더 많은 최적화
  • 대용량 트래픽 설계시에는 Stateless를 꼭 기억하자
    • 같은 시간에 발생하는 대용량 트래픽
    • 이벤트가 생길때 사용자가 급증하는 경우
    • 팁: 정적 페이지를 하나 보게 한 다음, 이벤트 페이지로 들어가게 만드는 방법 (최대한 동시 요청을 적게)

3.5. HTTP 메시지

'HTTP 메시지 구조'

 

[ 예시 ]

  • 요청 메시지

HTTP 요청 메시지 (요청 메시지도 body 본문을 가질 수 있음)

 

  • 응답 메시지

HTTP 응답 메시지

 

3.6. HTTP 정리

'지금은 HTTP 시대'
  •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 HTTP 역사 HTTP/1.1을 기준으로 학습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무상태 프로토콜(스테이스리스)
  • HTTP 메시지
  • 단순함, 확장 가능
  • 크게 성공하는 표준 기술은 단순하지만 확장 가능한 기술 (HTTP 메시지도 매우 단순)

References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

반응형

Spring Boot 세팅을 위해, 요즘 제일 많이 사용하는 IDEA인 인텔리제이를 설치해보려고 한다.

버전은 무료버전인 Community 버전을 설치해볼 생각이다.

 

1. IntelliJ

'IntelliJ 란?'

  •  IntelliJ IDEA는 JetBrains사에서 제작한 상용 자바 통합 개발 환경
  •  IntelliJ 혹은 IDEA로도 불린다.

 

2. 설치하기

2.1. 젯브레인 사이트 접속

 

IntelliJ IDEA – the Leading Java and Kotlin IDE

IntelliJ IDEA is undoubtedly the top-choice IDE for software developers. It makes Java and Kotlin development a more productive and enjoyable experience.

www.jetbrains.com

 

2.2. Community Edition 버전 다운로드

  • Community Edition 버전은 무료이지만 제한적인 기능을 제한하고 있다.
  • Ultimate 버전은 유료버전으로 완전한 기능을 제공한다. (30일 무료체험 가능)
  • Download 클릭하여 .exe 파일 설치 (무설치용은 .zip 파일을 선택 후 다운로드)

Community Edition Download 클릭

 

 

2.3. 설치

Next 버튼 클릭

 

Next 버튼 클릭

 

필요한 옵션 선택 후, Next 버튼 클릭

  • Create Desktop Shortcut: 바로가기 생성 여부
  • Update PATH variable(restart needed) : 윈도우 환경변수에 자동으로 추가 할 수 있도록 체크
  • Update Context menu : 프로젝트로 폴더 열기
  • Create Association : 본인이 사용할 환경 선택

 

Install 클릭

 

Finish 클릭하여 설치 종료

 

2.4. 실행

OK 클릭

 

New Project 클릭

 

Create 클릭

 

프로젝트 생성

 

 

2.4. 정리

  • 스터디 용도로는 Community 버전도 적당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 프로젝트 실행시, 확실히 이클립스 비해 가볍고 빠른거 같다.
  • 무료버전을 사용하다가, 불편함이 느껴지면 유료버전으로 넘어갈 생각이다.
    (얼티밋 에디션은 개인용 버전이 월간 14.9달러, 연간 149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 다음 포스팅에서는, 설치한 인텔리제이에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을 해볼 생각이다.

 

References

https://goddaehee.tistory.com/195

 

[IntelliJ] Intellij 설치방법

[IntelliJ] Intellij 설치방법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IntelliJ 설치 방법 ] 입니다. : ) Eclipse에서 IntelliJ로 갈아탄 친구에게 추천받았는데, 개발 퍼포먼스 면에서 엄청 향상이 있었

goddaehee.tistory.com

 

반응형

2.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2.1. URL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URL? URN?'

"URI는 로케이터(locator), 이름(name)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 URI와 URL이 혼동되기 쉽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URI는 URL와 URN의 상위 개념이다.

 

 

[ URI 단어 뜻 ]

  • Uniform: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 Resource: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없음)
  •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 URL, URN ]

  • URL - Locator: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 URN - Name: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
  • 위치는 변할 수 있지만, 이름은 변하지 않는다.
  • 통상적으로 URI와 URL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 URL 문법 ]

https://www.google.com:443/search?q=hello&hl=ko 
 

헬로

아델의 노래

www.google.com

  • 프로토콜 (https)
  • 호스트명 (www.google.com)
  • 포트 번호 (443, 생략가능)
  • 패스 (/search)
  • 쿼리 파라미터 (q=hello&hl=ko)

 

2.2.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브라우저에 검색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일어나는일'

  1.  'www.google.com'에 대한 DNS 서버를 조회
    • IP와 PORT 정보를 얻는다
    • 캐싱된 DNS 기록을 체크
  2.  웹 브라우저가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
  3.  SO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OS 단으로 HTTP 메시지를 전달한다.
    • TCP/IP 연결 (구글 서버와 연결 상태 확인)
    • 데이터 전달 (OS 단으로)
  4.  TCP/IP 패킷 생성, HTTP 메시지 포함
  5.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 패킷을 구글 서버에 전달 / 도착
  6.  구글 서버에서 HTTP 요청 메시지에 대한 HTTP 응답 메시지 생성
  7.  구글 서버에서 응답 패킷을 웹 브라우저에 전달 / 도착
  8.  받은 응답 패킷을 기준으로 웹 브라우저에 HTML 렌더링

 

References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