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지털 ARS 관련 업무 프로세스 분석 중 온라인 결제 방식인 인증/비인증 결제에 대한 부분을 정리하고자 한다.

 

1. 인증결제

 1.1) 인증결제란?

    고객이 직접 보안 및 금융 프로그램을 통해 카드 또는 휴대폰 번호 등 본인의 정보를 입력을 통해

    인증을 진행하고 결제하는 방식

 

 1.2) 장단점

   - 장점

       > 비교적 높은 안정성 및 신뢰성

       > 고객이 직접 인증 후, 결제하기 때문에 사업자의 법적인 책임이 비교적 덜함

 

   - 단점

       > 고객 입장에서 보안 프로그램 설치 등 결제 절차가 복잡함

       > 구매도달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1.3) 종류

   - 온라인 PG : 카드사와 PG사(결제대행사)를 통해 온라인 '비대면인증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

       > 종류: 나이스페이, 이니시스, 다우페이 등

 

2. 비인증결제

 2.1) 비인증 결제란?

    - 비인증결제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카드번호 및 카드 날짜를 입력하거나 등록해놓고 결제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고객의 별도 인증 없이 결제를 요청하는 방식을 통칭

 

 2.2) 장단점

   - 장점 (=인증 결제의 단점)

       > 간편하다.

       > 구매도달률이 높다.

 

   - 단점 

       > 보안상 이슈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

       > 사업자의 법적인 책임이 상대적으로 크다.

 

 2.3) 종류

   - 정기/구독 결제 : 최초 등록된 결제정보로 "반복" 결제가 이루어지는 방식  ex)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

       * 정기적으로 같은 일자에 결제가 되는 방식이 아닌 등록된 결제정보로 재결제가 되는 방식도 정기/구독 결제에

         포함됨  ex) 카카오 택시, 따릉이 등

 

   - 키인(수기) 결제 : 구매자 인증 없이 카드번호 입력만으로 결제되는 방식 (일회성)  ex) CGV, 코레일, ARS 결제 등

 

4. 정리

 디지털 ARS가 모바일 화면을 통해 고객에게 노출이 되고, 모바일에서는 인증 결제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고 있어

 인증 결제로 진행해도 무리는 없어 보이나, 타사 보이는 ARS 사례나(SK스토아) ARS 특성(간편함)을 생각한다면

 간편 결제로 진행하는 것이 맞는 것으로 판단된다.

+ Recent posts